전체 글
-
[쑥뜸]쑥뜸의 효능몸건강 2011. 11. 8. 15:25
쑥뜸을 하게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쑥뜸의 효능때문입니다. 쑥뜸의 효능은 매우 다양하며 또한 매력적입니다. 여기서는 뜸이란 무엇인지, 언제부터 쑥뜸의 효능에 대해 신뢰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대표적인 쑥뜸의 효능에는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뜸이란 뜸을 한자로는 구(灸)라고 씁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직접구, 간접구할 때의 '구'자가 바로 뜸을 말하는 것으로 직접뜸, 간접뜸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구(灸)자를 보면 오랠 구(久)자와 불 화(火)자가 섞여 만들어진 것으로 뜸이란 결국 "오래도록 불로 치료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뜸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쑥뜸"을 지칭합니다만 아주 먼 옛날에는 쑥뜸만 있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인간이 불을 활용하게 되면서 불을 쪼이면 통증이 경감된다는 ..
-
[뜸뜨는 방법]뜸의 효능(종합)몸건강 2011. 10. 31. 00:44
제가 쑥뜸에 관심을 갖게 된 지는 10여 년이 되었으나 실제로 쑥뜸을 뜨고, 집사람에게도 뜸을 권하면서 이것저것 조사하다보니 옛날보다는 좀 더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아는 것도 아는 것이지만 무엇보다도 직접 체험해봄으로써 느끼는 몸의 변화야말로 쑥뜸에 빠지게 되는 매력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아무리 다른 사람이 의심한다해도 내몸으로 직접 확연하게 느끼는 것을 애써 부인할 수는 없는 것이니까요. 아래에는 뜸의 효능 및 뜸 전반에 대한 내용으로 KBS 프로그램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2007년 12월 28일 방영)에 나온 글입니다. 이미 뜸을 활용하시는 분들은 다 알고 계신 내용이겠으나 아직 뜸을 접하지 못하신 분들이 더 많을 것이므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지않을까 생각되어 올립니다. 뜸이란? 뜸은 '灸'는..
-
너무 가려운데 이게 명현반응일까?몸건강 2011. 10. 30. 18:10
간접구(뜸) 또는 좌훈을 하다보면 너무 가려워서 참을 수 없을 때가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이런 경험을 못느끼시는 분도 있는 반면 조금만 뜸을 떠도 굉장히 가려움을 느끼는 분도 있습니다. 왜 이럴까 궁금하기도 하고 때로 혹 잘못되는 것이 아닐까 무섭기도 합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이런 경우 명현반응 또는 명현현상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 과연 그런지 살펴보겠습니다. 명현반응이란? 잘못된 몸의 균형이 약이나 특정한 처방 등으로 점차 바로잡히면서 몸에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지칭하여 '명현현상' 이라고 하며 이때 몸으로 느끼는 평상시와는 다른 반응을 명현반응이라 합니다. 쉽게는 호전(좋아지는) 반응이라고도 합니다. 명현반응을 말하는 분들은 이러한 명현반응 이후에 비로소 면역체계나 몸의 자가치유 작용이 바로..
-
뜸을 뜨면 안되는 경우몸건강 2011. 10. 30. 17:31
여기서는 먼저 뜸을 뜨면 안되는 경우를 들어보겠습니다. 술을 먹은 뒤 식사직후 몸에 고열이 날 때 임신부의 등이나 배 얼굴이나 심장 주변 큰 핏줄이 있는 곳 등이 있습니다. 뜸을 뜨기 전에 열을 내는 음식(매운 음식) 또는 뜨거운 음식은 이롭지 않다고 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위의 경우 말고도 너무 근심걱정을 많이 한 뒤 지나치게 분노하는 마음이 가시지 않은 뒤 등에도 뜸뜨는 일을 피하라고 하고 있습니다. 뜸뜰 때에도 어느정도의 기운이 필요한 것이고 또 안정된 마음의 상태도 필수적이니 충분히 이해가 가는 말입니다.
-
[뜸자리잡기] 뜸뜰 위치 잡는 방법몸건강 2011. 10. 30. 17:27
막상 쑥을 사놓고 뜸을 뜨려고 해보니 정작 어디에 놓고 뜸떠야 할 지 막막한 경우가 있습니다. 한의원에 가서 뜸자리를 한 번 잡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만약 간접구(뜸)을 뜨시려는 경우, 흔히 뜸법을 설명한 책을 보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뜸자리 잡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립니다. 동신촌법(同身寸法) 사람마다 체구와 체형이 다르므로 정확한 혈자리를 잡는 것은 중요합니다. 당연히 한의원이나 기타 전문가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으나 기본적인 혈은 동신촌법을 사용해서 집에서도 쉽게 혼자 찾을 수 있습니다. 동신촌법이란 자신의 신체에 맞는 측정법으로 여기서의 기본단위인 "치(寸)"는 자기 몸을 기준으로 합니다. 관원(단전)은 배꼽에서 아래로 3치인데 3치란 자신의 손가락(엄지손가락 제외..
-
쑥의 효능몸건강 2011. 4. 27. 18:51
쑥은 일반적으로 우리몸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어디에 어떻게 좋은 지 알아야 먹거나 사용할 수가 있기에 일반적인 쑥의 효능을 조사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먼저 KBS 1TV 프로그램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서는 쑥의 효능에 대해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쑥의 효능 1. 천연해독 능력 탁월 해열작용과 항균 작용이 뛰어나 평소 입병이 잘 나거나 몸에 종기가 잘 생기는 사람들이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 2. 복통을 다스리는 능력 탁월 성질이 따뜻해서 기혈을 잘 소통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배가 아플 때 쑥을 물에 넣고 달인 물을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 3. 부인병을 다스리는 능력 탁월 자궁의 기능이 저하되어 생기는 월경부조와 자궁출혈, 임신 중 출혈, 그리고 불임 등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4...
-
7년 앓은 병에 3년 묵은 쑥이 특약?몸건강 2011. 4. 27. 01:15
전해오는 이야기 중에 일구이침삼약(一灸二鍼三藥)이라 하여 여러 치료법 중 뜸 치료를 으뜸을 삼는 말이 있습니다. 중국 최초의 의학서인 『황제내경』소문 편에서도 뜸과 관련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北方者, 天地所閉藏之域也, 其地高陵居, 風寒冰冽. 其民樂野處而乳食, 藏寒生滿病, 其治宜灸焫. 故灸焫者, 亦從北方來. "북방의 나라는 구름이 낮게 하늘을 덮고 있어 햇볕이 적은 곳이다. 거기는 고원 지대로 바람이 차고 시리며 땅은 얼어있다. 방목인인 그곳 사람들은 한 곳에 머물러 살지 않고 항상 옮겨 다닌다. 따라서 오장육부가 차가워져서 병에 걸리기 쉽다. 이곳 사람들은 뜸을 지지고 태우는 방법으로 병을 고친다. 이와 같은 치료법은 북방에서 발달하여 전해진 것이다." 여기서 잠깐! 『황제내경(黃帝內經)』이란..
-
스키니진과 아궁이몸건강 2011. 4. 13. 16:22
마치 피부처럼 몸에 딱 달라붙는 스키니진! '바짝 말라빠진(skinny)' + '청바지(jean)'의 합성어로 남녀를 불문하고 요즘 인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옷이야 입는 사람마음으로 당연히 자기가 원하는 대로 입는 것인데 스스로 보기에는 좋을런지 모르지만 과연 몸에는 좋을까 생각하면 꼭 그렇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몸에 완전히 달라붙는 스키니진은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서 문제라는 기사를 전에 본 적이 있습니다. 통풍 안돼 질염, 너무 꽉 끼어 신경이상증까지 생길 수도 꽉 달라붙는 바지로 통풍이 거의 안되면 아무리 생각해도 몸에 좋을리가 없습니다. 이렇듯 몸에 착 달라붙는 옷을 입으면, 남자는 사타구니에 피부염이 생기는 음부백선과 같은 피부질환에 시달리기 쉽고, 또 여성은 대표적으로 질염에 걸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