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약쑥/쑥 이야기 웅녀 Maumsory 2010. 7. 18. 03:32
쑥은 우리나라 어디서나 자라는 아주 흔한 식물입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어서 그 귀중함을 잘 모르지만 사실 쑥은 아주 쓰임새가 많은 식물이지요. 쑥의 종류는 매우 다양한데 그중에서도 특히 강화약쑥은 꽤 유명합니다. 도대체 강화약쑥은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흔한 쑥과 어떤 점이 다를까요? 강화도에서 나는 쑥이라고 해서 모두 강화약쑥으로 불리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강화도에서도 여러 가지 쑥이 자라납니다만 그 중에서 영예롭게(?) '강화'라는 지명의 '이름'을 붙여 '강화약쑥'이라 불리는 쑥은 크게 사자발쑥과 싸주아리쑥이 있습니다. 사자? 싸주아리..? 무슨말이야? 사자발? 싸주아리? 이제는 익숙해져서 너무나도 자연스럽습니다만, 저도 처음 들었을 때는 무척 생소한 명칭이었습니다. 현재 강화약쑥이라고 하면..
쑥뜸체험기/간접구체험기 웅녀 Maumsory 2010. 7. 8. 21:24
한 2 주 쯤 된 것 같은데... 왼쪽 어깨(목 뒷부분에서 어깨에 걸쳐서)부분에 통증이 왔다. 보통은 팔을 돌리면서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면 풀렸는데, 이번에는 달랐다. 컴퓨터를 오래하다보니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들었으나, 자세불량으로 인한 것도 같고...원인은 명확하게 짚이지 않았다. 어느날인가 부터 어깨가 묵직하게 결리더니 열흘이 넘어가면서는 문득 문득 통증이 꽤 깊게 찾아왔다. 검색해보니, 견비통이라 불리는 질병은 척추와 어깨뼈를 둘러싼 근육과 인대가 딱딱해지면서 목에서 어깨, 어깨에서 팔, 심지어 등 부위까지 아픈 증상이라는데, 팔을 돌리기도 어렵다는 것이 내가 느끼는 통증과 유사했다. 지나치게 높은 배게가 견비통의 원인일 수도 있다는데...아뿔사~이건 이제부터 조심해야겠다. 2주쯤 되어도 나아지..
강화약쑥/웅녀 이야기 웅녀 Maumsory 2009. 10. 14. 12:41
추석때 본가에 다녀왔습니다. 식사후 이런 저런 얘기를 하다가 아무래도 제가 쑥에 대해 관심이 많은 터라 자연스레 쑥뜸에 관한 얘기를 나누던 찰라 "여기도 쑥 있어." 어머니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저는 "엥? 그럴리가..." 어머니는 쑥뜸을 모르셨으니 제가 가져다 드리지 않고서는 쑥이 있을리 없었는데... 저는 어머니께 쑥을 드린 적이 없었거든요. 어리둥절한 저에게 어머니는 장농에서 봉투를 꺼내 오셨습니다. 아뿔사~ 이건 제가 처음에 영구법으로 뜸을 떴을 때 쓰고 남았던 쑥이었습니다. 93년도의 일이죠. 당시 인산 김일훈선생님의 저서『신약』을 출판했던 출판사 '광제원'에 전화를 걸어 종로에 나가서 직접 구했던 싸주아리쑥으로 봉투를 보니 기억이 났습니다. 봉투를 열어 속안을 확인해보니 보관상태는 매우 양호했습..
강화약쑥/웅녀 이야기 웅녀 Maumsory 2009. 10. 13. 15:31
93년도에 인산 김일훈 할아버지의 영구법을 경험하였으니 벌써 뜸을 알게된 지도 17년이 지났네요. 아내를 위해 제대로 된 강화약쑥(단오채취, 3년묵은, 강화싸주아리쑥)을 찾아다니다가 번번히 실패하기를 반복하면서 점점 낙담하던 중, 어느날은 아예 마음먹고 끈질기게 인터넷을 뒤지게 되었습니다. 그때, 꾸며지지도 않고 조금은 허름하게까지 보이는 블로그를 보게 되었습니다. 블로그 사진에서 길을 찾다. 위 사진은 그 블로그의 운영자란에 조그맣게 보였던 사진입니다. 휠체어에 앉은 분이 직접 약쑥을 재배하는데, 아니 글쎄 이 분이 직접 인산 영구법을 행하고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영구법이란, 몸에 5분이상 가는 뜸장을 직접 올려놓고 태우는 뜸법입니다.) 영구법을 하기위해서 싸주아리쑥을 찾던 터라, 다른 그 어떤 것보..
강화약쑥/쑥 이야기 웅녀 Maumsory 2009. 10. 12. 18:11
제대로 된 강화약쑥을 고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강화도에 직접 가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특산물센터 등 판매점이나 상설장터에 가시는 것이 아니라 강화약쑥을 직접 재배하는 농가를 찾아가는 것입니다. 최소한 몇 군데를 가셔서(한 군데만 가서 선택하지는 마세요.) 알아보셔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농가 직접 방문 - 발품팔기 ① 재배여부 직접 재배를 하는지 다른 지역에서 구입해서 파는 것인지를 살펴봅니다. ② 품종 및 재배상태 싸주아리쑥이나 사자발쑥이 맞는지, 상태는 어떠한지를 따져봅니다. 미리 사전지식이 좀 필요하겠죠.^^ ③ 채취시기에 따라 약쑥이 구분되어 보관되는지 일년에 2~3회 채취합니다만 단오에 채취하는 약쑥만이 약용,뜸용 입니다. ④ 건조장 및 창고의 상태 잎과 줄기의 습기를 없애야 하므로 초..
강화약쑥/쑥 이야기 웅녀 Maumsory 2009. 10. 3. 14:53
인산할아버지가 쓰신 책 『신약(神藥)』에는 쑥을 일컬어 '자연이 준 최상의 선물'이라고 하였습니다. 쑥은 우리가 어릴 적부터 봐왔으며 먹기도 한 것인데... 특히 저는 쑥떡을 무지 싫어했었습니다만. 주변을 둘러보면 어디에나 널려 있는 것이 쑥입니다. 가로등 밑에도 수북히... 있을 것 같지 않은 보도블럭 좁은 틈바구니에도 군데 군데 소복히 있습니다. 완전 망가지고 방치된 상태를 일컬어 '쑥밭이 되었다.'고 하는데 그만큼 생명력이 강하다는 말이랍니다. 흔히 히로시마 원폭얘기들을 합니다. 피폭으로 폐허가 된 이후 아무것도 남지 않은 잿더미 속에 유일하게 되살아나 쑥밭을 이루었다는... 그런데 인산 할아버지는 그냥 쑥이 아닌 "약쑥"이라 하셨고 책에는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인류의 거의 모든 질병을 근치시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