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오에 채취해야 최상의 쑥
- 강화약쑥/쑥 이야기
- 2010. 7. 25. 19:16
그러나 사실 ‘언제’ 채취했는가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선택 기준이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고전에서 말하는 최상의 시기
한방고전인 『동의보감』에는 쑥의 채취에 대한 이런 말이 있습니다.
"오월 초닷새(단오날) 새벽, 닭이 첫 울음을 울기 전에 사람처럼 생긴 쑥 이파리를 뜯어 잘 말려두었다가, 뜸을 뜨면 효험이 좋고 이날 뜯은 쑥은 사람에게 좋아 여러 독을 없앤다."
음력으로 단오 무렵은 봄의 끝이며 여름이 막 시작하려는 때로 봄에 새싹을 내민 식물들이 땅 속의 자양분과 대기 중의 여러 기운을 충분히 흡수했을 시기이므로 위의 말에 수긍이 가기도 합니다.
중국의 의성 화타는 똑같은 쑥이라도 3월에 채취하면 좋은 약이 되며, 4월에 채취하면 그저 불쏘시개감이라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이 역시 채취시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말입니다.
오늘날 말하는 최상의 시기
쑥 채취시기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평생 한국의 토종약초를 연구해온 최진규씨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채취시기에 대한 공통된 말과 함께 이를 뒷받침할 만한 객관적 자료로는 강화군 농업기술센터와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천연물과학연구소, 방송통신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농학과에서 공동연구한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변이』2) 논문을 들 수 있겠습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쑥의 채취시기별 함량을 분석한 결과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 모두 5월 23일에서 6월 10일 사이 채취한 쑥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여기서는 사자발쑥을 수확시기별로 나누어 eupatilin과 jaceosidin함량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5월 30일 수확한 쑥은 100g당 eupatilin과 jaceosidin의 합이 250mg으로 가장 높았으나, 7월 30일에 수확한 것에는 두 성분의 합이 187.7mg, 9월 30일에 수확한 것에는 144.1mg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상의 내용에서 같은 쑥이라도 언제 채취하느냐에 따라 매우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실히 알 수 있으며, 따라서 강화약쑥을 선택할 때 ‘채취시기’는 반드시 챙겨야하는 기준이라는 것을 다시금 강조해서 말씀드리는 바입니다.
1)최진규(한국토종약초연구소 소장), <약이되는 우리 풀ㆍ꽃ㆍ나무>, 한문화, 2001년
2)韓國作物學會誌 제50권 2005년 pp.204-207
'강화약쑥 > 쑥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C와 개똥쑥 (5) | 2012.08.02 |
---|---|
[강화약쑥]싸주아리쑥, 당신이 알고있는 것이 오류라면? (2) | 2012.03.01 |
[강화약쑥]3년 묵은 쑥이 좋은 이유 (0) | 2011.11.09 |
[강화약쑥]좋은 쑥 구별하는 6가지 방법 (12) | 2011.11.09 |
쑥의 효능 (0) | 2011.04.27 |
단오에 채취해야 최상의 쑥 (1) | 2010.07.25 |
사자발쑥과 싸주아리쑥의 형태상의 차이 (0) | 2010.07.18 |
강화약쑥, 사자발쑥, 싸주아리쑥 명칭의 차이를 밝혀보자. (0) | 2010.07.18 |
쑥진액이 황금색이면 좋은 쑥일까? 비교실험 (0) | 2010.02.16 |
3월쑥은 인진쑥, 4월쑥은 불쏘시개 (0) | 2010.02.11 |
강화약쑥 제대로 고르는 노하우 (2) | 2009.10.12 |